- 영문명
- Mediating Effects of Self-activation control in the Relation between Achievement value in elementary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가현(Kim Ga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467~48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1차 년도와 6차 년도 종단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때의 성취가치, 자기행동통제, 학업시간관리, 교사관계와 중학교 때의 학업성취도 간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데이터 가공 및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교 성취가치가 초등학교 자기행동통제, 학업시간관리, 교사관계에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때의 성취가치가 5년 후 중학교 학업성취도에 직·간접적
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첫째, 성취가치가 중학교에서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학교에서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학생의 성취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중학교에서
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에서의 행동의 통제력을 높이기 위한 변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was intend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elf-activation control, academic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iddle school by longitudinal dat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uccess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path coefficient for self-behavioral control, time management and teacher relationship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 of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five year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achievement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in middle school. Second,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in middle school, a change is needed to improve the control of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