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hased Withdrawal of Visual Cues on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Case Marke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하창완(Chang Wan Ha)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3권 제3호, 201~2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적 단서의 단계적인 소거 전략을 활용한 국어 수업이 고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격조사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남 G시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학습장애 학생 2명으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주어+목적어+서술어 , 주어+ 부사어+서술어 , 부사어+목적어+서술어 , 주어+부사어+목적어+서술어 를 변인으로 하는 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각 단계별로 수집된 평가 결과는 시각적인 분석과 함께 PND 값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시각적 단서의 단계적 소거 전략을 활용한 국어 수업은 학습장애 고등학생의 격조사 이해력과 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논의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Korean language lessons using phased withdrawal of visual cues on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case marke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study involv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special education class of a high school in G city of Gyeongnam. For this purpose, the multiple probe baseline was used and the variables included Subject+Object+ Predicate , Subject+Adverbial phrase+Predicate , Adverbial+Object+Predicate , and Subject+ Adverbial phrase+Object+Predicate. The evaluation results collected from each stage were analyzed through PND(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value with the visu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language lessons using phased withdrawal of visual cu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case marke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made based on the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