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signing and Implementing Quadratic Curve Lessons Emphasizing Characteristics of Visual Thinking via Dynamic Geometr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정화(Hwang, Jung Hwa) 조민식(Cho, Minsh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3호, 1167~119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Arnheim의 ‘시각적 사고’ 이론에 따른 수학교육 자료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시각적 사고는 선택성, 단순성, 추상성, 일관성, 추론성, 개별성 등의 특징이 있으며, 보는 것, 상상하는 것, 그리는 것 등의 세 가지 심상의 상
호작용은 시각적 사고를 촉진한다. 이를 반영하여 동적 기하환경에서 이차곡선에 대한 관찰활동, 추론활동, 작도활동 등으로 수업을 구성하고, 수업자료는 가독성, 심미성, 강조성, 소거-집중성, 조직성, 일관성, 조직성, 추론성, 공간성 등의 구성 원리에 따라 개발하였다. 수업자료를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수학적 사고가 발현 되었고 자기주도적 발견 및 분석 능력이 촉진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수업 자료 제작의 원리, 자기 주도적 탐구 강화, 새로운 도형의 도입 및 문제 해결 등 기하 교육 개선 방안에 시사점을 줄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inquiry of quadratic curv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thinking based on Arnheim s theory and to reveal their educational effects and meanings.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thinking can be summarized as selectivity, simplicity, abstraction, consistency, reasoning, and individuality. And interactions of three imageries-seeing, imagining, and drawing activate visual thinking.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lass activities are focused on observing, reasoning, and drawing activities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learning materials are made due to the principles such as readability, aesthetics, emphasis, elimination–concentration, organization, consistency, reasoning, operability and spatiality. We also analyze the category of mathematical thinking in the course of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explores aspects of educational effect.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thinking play a positive role in the educational effects of learning materials. And inquiry activities consisting of observing, reasoning, and drawing are educationally meaningful. The reasoning activity followed by the observing enhance the inquiry attitudes of students. The drawing activity promptly confirms the reasoning and facilitates inquisitiveness and mathematical thinking , and makes the joy of discovery and interest in the subje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시각적 사고의 특징을 적용한 수업자료 개발
Ⅳ. 수업 자료 적용 사례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