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Motive factor, Teaching personality, the Career Maturit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Typ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태섭(Jung, TaeSub) 장영환(Jang, YoungHwan) 장민지(Jang, MinJi) 맹희주(Maeng, Hee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3호, 1399~141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진로 결정 요인인 동기요인, 교직인성,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유형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유형에 따른 외적 동기요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결정·편안 유형과 결정·불편유형이 미결정·불편 유형 보다 내적 동기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결정·편안 유형이 미
결정·편안 유형보다 내적 교직인성과 사회적 교직인성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공동체적 교직인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진로성숙도 중에서 직업에 대한 인식은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편안 유형보다 유의
미하게 높았으며, 자신에 대한 평가는 결정·편안유형이 미결정·편안 유형과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직업에 대한 태도는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결정·편안 유형은 진로성숙도의 직업과 관련
지식 중 직업에 필요한 능력에 대한 지식이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요구하는 교육 수준에 대한 지식은 미결정·편안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하는 일에 대한 지식은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편안 유형과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예비 과학교사들의 내적 동기요인, 직업에 대한 인식, 직업에 대한 태도, 진로성숙도를 높여 교사로서 진로를 빨리 결정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교사 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이와 같은 진로 결정 요인을 진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
극 반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otivational factors, teaching personality, and career maturity, which are determine factors of career of pre-science teach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type. The stud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gi from March to June, 2017, an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rnal motive factor for the type of career decisions, and the decision-comfort and decision-discomfort typ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nal motivations than indecision-discomfort types. Second,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ternal and social teaching personality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communicative teaching personality than the indecision-discomfort type. Third, among the career maturity, the job recognition of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self evaluation of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discomfort type, and job attitude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decision-discomfort. Fourth, among job knowledge the career maturity, the decision-comfort type’ Knowledge of the job skills required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the decision-comfort type’ knowledge of the education level required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the decision-comfort type’ knowledge of what to d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discomfort typ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these determine factors of career in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