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iterature Review of Reading Intervention for ADH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설아(Kim, Seol a) 김은경(Kim, Eun 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3호, 157~18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ADHD를 대상으로 읽기 중재를 실시한 국내·외 읽기 중재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ADHD 학생을 위한 읽기 중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2018년 3월 25일부터 6월 30일까지 ADHD 읽기 중재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헌 포함 및 제외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2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기간, 중재환경, 독립변인의 중재범주 및 전략 및 종속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DHD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중재를 시행한 연구에서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ADHD 하위유형별 분석 결과 ADHD 복합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재 장소는 일반학교 내 교실 외 장소, 중재 회기는 21~25회기가 가장 많이 시행 되었으며, 낯선 연구자가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읽기 이해 연구가 가장 주를 이루었다. 독립변인의 중재모델로는 인지주의 모델이 주로 적용되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ADHD 학생을 위한 읽기 중재가 주는 시사점과 추후 연구 방향이 논의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reading intervention for ADHD students by analyzing intervention studies that were conducted with reading intervention for ADHD. A total of articles were selected by criteria for this synthesis and were analyzed for the study subjects, period, intervention environment, intervention categories and strategies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stly targeted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ers with ADHD,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subjects places in the place outside the classroom in the general school. The interventions were mostly 21 ~25 sessions by unfamiliar researcher. Reading comprehension research was the most importan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cognitive model was appl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tervention model.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for ADHD studen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