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lasses through the Experience of Daily Simulated Instruction at Kindergarte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은주(Chang, EunJu) 조혜선(Jo, HyeS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2호, 495~5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 S대학교 3학년 예비유아교사 63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유치원 하루일과 모의수업에 대한 생각과 의미 탐색을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유치원 하루일과 모의수업 실행과정은 이론 강의, 하루일과 모의수업 교육계획안 작성, 하
루일과 모의수업 실행, 지도교수 및 동료협의에 의한 하루일과 모의수업 평가 및 분석, 부분 모의수업 재실행으로 진행되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유치원 하루일과 모의수업에 대한 의미 탐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루일과 모의수업을 경험적 측면으로서 등산에 비유하였으며, 보완, 성장 매개체, 발전, 지속적 경험, 연계 등으로 의미 부여를 하였다. 둘째, 교육적 측면으로는 하루일과 모의수업을 모의고사에 비유하였고 필수, 핵심, 실제 연습, 완벽, 연마 등의 의미를 지닌다. 셋째, 정서적
측면에서는 하루일과 모의수업을 세차장으로 비유하였으며, 마음고생, 시행착오, 성장통, 깨우침, 원동력, 새로움, 재발견 등을 주요 의미로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opinions on the experienced daily simulated instruction at kindergartens and its meaning targeting at 63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are in the third grade at S Univers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process of daily simulated instruction at kindergartens was as follows: theoretical lecture, preparation of a daily simulated instruction plan, implementation of daily simulated instruction, evaluation and analysis of daily simulated instruction through discussions with an advising professor and peers, re-execution of partial simulated instruction.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meaning of daily simulated instruction at kindergartens, which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xperience, daily simulated instruction was compared to a mountain climbing and viewed as having the values such as complementation, growth mediator, development, continuous experience, and linkage. Second, in terms of education, daily simulated instruction was compared to a trial examination and viewed as having the values such as necessity, core, actual practice, perfection and training. Third, in terms of justice, daily simulated instruction was compared to a car wash and viewed as having the values such as heartache, trial and error, growing pains, enlightenment, driving force, freshness and rediscove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