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Disaster Nursing Competency in Nursing College Student 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인자(Song, In Ja) 한종희(Han, Jeong Hee) 서성희(Seo, Seung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2호, 663~6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재난간호역량 정도를 알아보고 재난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G 시 K 대학의 간호대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6월 1일부
터 7월 30일까지 였으며, 자료분석은 PASW 18.0 version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재난간호역량 3.01점, 재난인식 3.50점, 재난준비도 0.25점이었다. 재난간호역량은 학년과 재난교육여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재난준비도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재난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재난준비도(ß=.418, p<.001)와 재난간호교육(ß=.378,
p<.001)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재난간호역량에 대해 40.7%의 설명력을 보였다(F=37.283, p <.001).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 재난준비도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대학의 여건과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현장체험 교육이 강화된 교과과정이나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 factors influencing disaster nursing competency in Nursing College Student 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173 nursing student s of K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The study used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July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follow: First, disaster nursing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and disaster nursing education. Secon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nd disaster preparednes. Third, influencing factors i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were Disaster preparedness(β=.414, p<.001), disaster nursing education(β=.378, p<.001) in nursing student s. The explanatory power(R2) by 2 variables was 40.7%(F= 37.283, p <.001). Based on the results,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level of disaster preparedness that reflects the needs to improv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 s.
Therefore, it suggests the development of standar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basic, advance) and analysis of effectiveness through curriculum or extra-curriculum that are strengthened in the practice at nursing colle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