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나익록(Na Ik Rok) 신재한(Shin Jae 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2호, 343~3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유형 등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술정보(주)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테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001년부터 2017년까지 학술지 및 학위논문 등 총 58편의 논문이 분석 자료로서 수집되었다. 향후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두뇌 기제 특성 및 근본적인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뇌파 측정과 같은 진단 도구를 활용해 맞춤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둘째, 개인적 인성 역량뿐만
아니라, 타인과 더불어 사는 사회적 인성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신체․인지․정서의 통합적 관점에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천함으로써 학생들 삶 속에서의 근본적인 의식 변화는 물론, 몸․마음․정신이 삼위일체 된 인격을 형성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and provide baseline data for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from various views such as research year, research purpos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program-applied period, program type and effectiveness variables. A total of 58 papers including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from a dissertation announced in 2001 to the one in 2017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subj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the baseline data for establishment of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and for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were deduc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of a customiz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diagnostic devices such as measuring instrument of brain wave to explore brain mechanism characteristics and fundamental reason. Second,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which can cultivate social personality capacity for living together with other people as well as individual personality capacity. Third, a personality, where body, heart and mind have become a trinity, as well as fundamental consciousness change can be fostered in students life by implement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from an integrated view of body, cognition and emo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