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Valproic Acid on the Survival of Human Tennon’s Capsule Fibroblas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시은(See Eun Lee) 김재우(Jae Woo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1, 1056~106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국문 초록
목적: 발프로익산이 배양된 인체 테논낭 섬유아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일차배양한 섬유아세포에 0, 0.25, 0.5, 1.0 mM 발프로익산과 0, 1.0, 2.5 μg/mL 미토마이신 C에 각각 또는 동시에 5일간 노출시킨 후 MTT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을 측정하였고, annexin-V/propidium iodide 이중염색 후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고사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발프로익산은 농도에 비례하여 섬유아세포의 생존을 유의하게 저하시켰으며, 미토마이신 C를 추가한 경우 섬유아세포의 생존을 더욱 저하시켰다. 두 약제 모두 섬유아세포의 세포고사를 유발하였으나 발프로익산은 미토마이신 C에 비해 세포고사를 적게 유발하였다.
결론: 발프로익산은 섬유아세포의 생존을 저하시키며 세포고사를 유발한다. 또한 미토마이신 C를 병용한 경우 섬유아세포에 대한항증식효과가 더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lproic acid on the survival of cultured human Tenon’s capsule fibroblasts (HTFBs).
Methods: Primary cultured HTFBs were exposed to 0, 0.25, 0.5, and 1.0 mM valproic acid with or without 0, 1.0, 2.5 μg/mL mitomycin C, and incubated for 5 days. Cell survival was assessed using an MTT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and the degree of apoptosis was assessed by flow cytometry using annexin-V/propidium iodide double staining.
Results: Valproic acid decreased the survival of HTFB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survival was further decreased by adding mitomycin C to valproic acid. Both valproic acid and mitomycin C induced apoptosis of HTFBs. Valproic acid induced less apoptosis than mitomycin C.
Conclusions: Valproic acid decreased the cellular survival of HTFBs and induced apoptosi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valproic acid were further enhanced by the addition of mitomycin C.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