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Univeristy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Co-regulation Level on Team-efficacy, Team-interaction and Team activity satisfaction in Team-based Collaborative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효원(Kim, Hyowon) 김희정(Kim, Heejung) 김누리(Kim, Noor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1호, 1301~13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팀 기반 협력학습 시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조절능력 수준에 따라 팀효능감, 팀 상호작용과 만족도에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도 소재 2개 대학교에서 2017년 2학기에 수업을 수강 하여 팀 기반 협력학습 과제를 수행한 학생 29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조절능력에 따라 팀효능감, 팀 상호작용과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조절능 력의 상호작용 효과는 팀효능감과 만족도에서 확인되었다. 문제해결능력이 높은 집단의 경우 협력학습에 대한 효능감은 협력적조절능력이 높을 때와 낮을 때가 보통일 때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협력학습에 대한 만족도 또한 이와 유사한 양상을 띄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문제해결능력이 낮은 집단의 경우는 협력적조 절능력이 보통일 때 협력학습에 대한 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나 협력학습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의 효과적인 협력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s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co-regulation level on team-efficacy, team-interaction and team activity satisfac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296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 universities in Jeolla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high, moderate, low problem solving and co-regulation level in team-efficacy, team-interaction and team activity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show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co-regulation level in team-efficacy and team activity satisfaction. That is to say, high problem solving level students were more higher team-efficacy when they perceive high and low co-regulation level than moderate level. also, similar pattern appeared in team activity satisfaction. However, low problem solving level students were more higher team-efficacy when they perceived moderate co-regulation level, while lower team activity satisfaction. It promotes the use of instructional designs and strategies for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experi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