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Social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희(Kim Sung Hee) 이은미(Lee Eun 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0호, 933~9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환경 신념과 태도, 사회적능력, 그리기표상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141명으로 평균 월령은 73.83개월이었다. ‘유아의 환경신념과 태도 검사도구’, ‘사회적 기술상황 검사도구’ 그리고 ‘그리기 표상능력 측정척도’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r 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유아 환경 신념과 태도, 사회적능력, 그리기표상능력 변인들 간의 관계와 유아 환경 신념과 태도에 대한 사회적능력과 그리기표상능력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유아 환경 신념과 태도와 사회적능력, 그리기표상능력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능력과 그리기표상능력은 유아의 환경 신념과 태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social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subjects were 141 children in kindergarten in K-do. The mean ages of subjects were 73.83 months. ‘The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Scale for Young Children’, ‘Skill Situations Measure’, and ‘The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young children 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are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ability,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t was revealed that social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ere found as the predict variables for effecting on children 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Infants usually communicated, discussed and promoted social ability through art and representational art, discussions knowledge of the environment and natural concepts and emo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