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bnormal Groundwater Changes as Potential Precursors of 2016 ML5.8 Gyeongju Earthquake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현아(Hyun A Lee) 함세영(Se-Yeong Ham) 우남칠(Nam C. Woo)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1권 4호, 393~40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국문 초록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ML5.8 경주 지진과 2017년 11월 15일 ML5.4 포항 지진은 국내에 지진 예측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지진 예측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의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는 지진 발생
전 이상 변동을 보이는 인자들의 관측과 평가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산단층대의 지하수위 정밀 관측을
위해 시범 운용 중인 양산 지하수 정밀관측공에서 2015년부터 관측된 지하수의 비정상적인 상승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 이상 변동은 다양한 수리지질학적 인자들을 고려하였을 때 지진 전조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단일 관정의 단일 요소에서 나타난 자료만으로 지진 전조를 섣불리 판단할 수 없다. 장기적으로는 전조 현상 연
구와 평가를 위한 전문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Despite some skeptical views on the possibility of earthquake predictio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precursory changes have been continued throughout the world. In Korea, the public concern on the earthquake
prediction has been increased after 2016 ML5.8 and 2017 ML5.4 earthquakes occurred in Gyeongju and Pohang, the
southeastern part in Korea,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abnormal increase of groundwater level was observed
before the 2016 ML5.8 Gyeongju earthquake in a borehole located in 52 km away from the epicenter. The well was
installed in the Yangsan fault zone, and equipped for the earthquake surveillance. The abnormal change in the well
would seem to be a precursor, considering the hydrogeological condition and the observations from previous
studies.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pecialized council to support and evaluate the earthquake prediction and related
researches for the preparation of future earthquake hazard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지하수위의 시계열자료와 이상 변동
4. 지하수위의 지속적인 상승과 지진
5. 제 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