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applied with Blend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옥진(Kim ock 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9호, 941~9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표현예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참여자의 우울과 분노, 절망감에 대한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표현예술치료 신청자 8명을 대상으로 1박2일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우울척도와 분노척도, 절망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응표본 t-test 차이검증 결과,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참여 사전·사후의 우울지수, 분노지수, 절망지수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는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우울과 분노, 절망감을 감소시키는데 처치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둘째, 각 변수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 분노, 절망감 사전검증결과와 사후검증결과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변수들 간에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설명된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 분노, 절망감 사전 지수와 사후 지수 간의 유의한 영향력 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어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검증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표현예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을 경험한 학습자들의 우울감과, 분노, 절망감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depression, anger, and despair of participants by performing a group expression art therapy program using blended learning.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1-night and 2-day program for 10 groups of applicants for group art therapy, and their depression scale, anger scale, and desperation
scale were evaluated..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depression scores of participating art therapy programs using blended learning as a result of the t-test difference test. Second, as a result of the t-test difference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ger indices of pre- and
post-participants in the expression art therapy program using blended learning.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spair indices of pre- and post-participation in the expression art therapy program using blended learning. This explains that the expression art therapy program using blended learning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depression, anger, and hopelessnes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e- and post-test results of depression, anger, and hopelessness. Final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between depression, anger, hopelessness index, and post hoc index,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verification was done after considerable tim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epression, anger, and hopelessness of the learners who experienced the expression art therapy program using blended learning were significantly reduc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