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learner-autonomy improvement teaching model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maj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성희(Cheong Sung Hui) 김주연(Kim Ju y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8호, 767~7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과대학 실내건축학 전공 재료학 수업에서 학습자 특징 및 교과목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한 ‘학습자 자율성 향상을 위한 실내건축학 전공 수업 모델’(이하 자율성 향상 모델) 적용 후 (1) 학습자 참여형 자율성 향상 모델 구성 요소(이하 자율성 향상 모델 구성요소), 학습자 (2) 수업 참여 활동 인식(이하 참여 인식), (3) 수업참여 관심과 선호도(이하 참여 선호도), (4) 자율적 수업 참여 의지(이하 수업 참여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서울소재 한 남녀공학
종합대학 실내건축 전공 재료학 교과를 수강하는 1개 분반 23명의 대학생에게 16주간의 수업을 통해 본 연구를 적용하였다. 정규성검정(NormalQ-Q Plot)을 통해 정규분포를 확인한 후 위 4개 영역관련 인식 및 선호도 변화 측정을 위한 t-검정 및 사전․사후 설문 결과 기술 통계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고 그 결과 수업 참여 인식, 선호도, 수업 참여 의지 사후 설문 점수 향상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많은 학생 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지 못하여 건축전공 전반을 위한 학생 참여형 수업 모델 효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진다. 하지만 현 대학 교육의 대세적 흐름인 학생 참여형, 학생 주도형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이상적 숫자(30명 미만)를 토대로 플립러닝에 응용할 수 있는 학생 참여형 수업 모델을 제시한 의의를 지닌다. 또한 건축 관련 참여형 수업 모델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므로 학습자 요구와 상호작용을 반영한 자율성 향상 모델 연구가 확산되도록 향후 연구를 제언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rted to present learner-autonomy improvement teaching model(here after learner-autonomy model) in construction major areas. Moreover, this paper examined learners (1) perceptions about class-activity-participations (2) interests and preferences for learner-autonomy model, and (3)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A total of 23 participants who were enrolled at the subject of Materials for interior design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mpleted a pre-post perception and preference- analysis - questionnaire (hereafter PPAQ). This instrument contained three domains (e.g., perceptions about class-activity participations, preferences for
learner-autonomy model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se activities). The PPAQ results portray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fond of this teaching model and they were interested in doing class-activities. Additionally, they were aware of learner autonomy and class participations positively with strong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ven though this study revealed the limitations of presenting a few number of participants, it resulted in presenting a learner-autonomy improvement teaching model. Moreover, this study implied that the success of this model was contingent upon reflecting learners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subjects. With relevant number of participant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study other factors, which may improve learners’ motivation to study major area and interests in participating in class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학습자 자율성 향상 모델 적용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