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arents’ Over-control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Identity on Self-Regulat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운경(Lee Woon 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8호, 265~29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학습이 강조되는 현시점에서,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부모의 과잉간섭과 청소년의 우울 및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0년도부터 중
학교 1학년 학생들을 추적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6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2,054명(남: 1,040명, 여: 1,01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과잉간섭과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간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간접경로 분석 결과, 부모의 과잉간섭이 청소년의 우울을 통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부모의 과잉간섭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통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부모의 과잉간섭이 순차적으로 청소년의 우울 및 자아정체감을 통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경로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선행연구가 부족한 가운데,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모의 특성 및 청소년 본인의 사
회·정서적 발달특성에 학문적, 정책적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over-control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identity on self-regulated learning. A total of 2,054 adolescents (boys: 1,040, girls: 1,014)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wave panel survey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1.0 and AMOS 25.0.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s’ over-control on adolescents’ self-regulated learning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over-control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parents’ over-control did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depression. However, parents’ over-control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adolescent identity. The consecutive indirect path that linked parents’ over-control, adolescents’ depression, ident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also significant. With few extant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highlight the need to focus on the roles of adolescent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relevant parenting behaviors in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adolescents’ self-regulated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