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xpresson of changing mechanism and level of sport character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 Club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대중(Lee Dae Jung) 김대진(Kim Dae Jin) 張令(Zhang Li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8호, 655~6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기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어떠한 수준으로 스포츠인성이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를 발생시키는 기제를 탐색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스포츠인성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기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스포츠인성 변화와 그 기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2016년 10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연구기간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7년 1월부터 2018년 5월까지 학교스포츠클럽 배구부에 참여하고있는 남·여 학생 각각 3명, 총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 참여관찰, 스포츠인성 일기 등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를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스포츠인성 수준은 배구부 참여 과정에서 ‘이율배반의 수준(기제-동기와 목적 달성을 위한 스포츠인성 행동, 눈치 작전을 통한 스포츠인성 행동)’, ‘개인적 수준(기제-배구부 활동의 몰입에 의한 스포츠인성 행동, 공감에 의한 스포츠인성 행동, 갈증 해소에 의한 스포츠인성 행동)’, ‘사회적 수준(기제- 나와 팀을 위한 스포츠 인성 행동, 스포츠의 내재적 규범에 의한 스포츠인성 행동)등으로 변화되었고 각 수준 마다 스포츠인성 행동을 이끄는 기제가 다르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nd sport character by exploring what level of changes are made in the sports character of sdudents wh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in the long term and the mechanism that causes these changes.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6 students consisting of 3 male and 3 femal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sport club volleyball tea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rticipation observation, sports character diary and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port character of the subjects in the volleyball participation process is changed by antinomic level(mechanism-sport character behavior for motivation and goal attainment, and sport character behavior through a wait-and-see tactic)’, ‘personal level(mechanism-sport character behavior by immersion of volleyball club activities, sports character behavior by sympathy, and sport character behavior by quenching thirst)’, and ‘social level(mechanism-sport character behavior for oneself and team, and sport character behavior by the intrinsic norm of sport), and each level varies depending on the mechanism leading sport character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