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alogue Journal Writing: a Case Study for Learner-Centered Writing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나연(Oh Na y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8호, 245~2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화식 저널 쓰기(Dialogue journal writing)” 사례 연구로서 그 과정에서 작성된 저널의 주제 및 소재, 학습자와 교수자의 심리 및 태도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 학습자 14명과 영어 원어민 교수자 1명 사이에 한 학기(12주, 2017. 09. 12.~2017. 12. 05.) 동안 진행된 영어 대화식 저널 쓰기840편을 수집·분석하고(2017. 09. 12.~2018. 03. 30.), 참여자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학기 초(2017. 09. 12.), 학기 중(2017. 10. 17.), 학기 말(2017. 12. 05.) 3회 실시하였다. 결과로는 첫째, 저널의 주제와 소재를 Glesne(2016)를 참고하여 7개 영역으로 분류했을 때 빈도순으로 ① 개인적인 주제 및 내용, ② 격려 및 감정 표현, ③ 모국어 문화 반영, ④ 이름 사용, ⑤ 학문적 작문에 사용, ⑥ 영어 표현 및 문법 수정, ⑦ 그림을 통한 감정 표현 등이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저널 쓰기가 진행됨에 따라 긍정적인 감정으로 변화되었고, 교수자와 친밀해졌다고 느꼈으며, 유창성 측면에서 가장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 셋째, 교수자는 학습자 개인에 대해 좀 더 알게 되었고, 유대감
이 강화되었고, 학습자의 유창성 증가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했다. 동기부여는 교수자의 고민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학습자가 어떤 종류의 글을 쓰고, 어떤 생각을 하며, 어떻게 변화하는 지 등은 학습자중심 영어 쓰기
수업에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dialogue journal writing.” It aimed to examine topics and contents and learners’ and a teacher’s feelings and attitudes during the dialogue journal writing process in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eir professor. For this study, 840 dialogue journals from 14 learners and a professor at a college in Seoul during the fall semeste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surveyed.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dialogue journals were divided into seven topics and content parts of the coding system by Glesne(2016). They were sorted by frequency: ① personal topics and contents, ② personal encouragement and expressing one’s own feelings, ③ L1 (Korean) cultural background in contents, ④ using each other s names, ⑤ using academic writing, ⑥ asking for more L2 (English) expressions and grammatical corrections, and ⑦ using drawings to express emotion. Second, learners felt more confident with English writing and closer to their professor, and they thought that dialogue journal writing was helpful for their writing fluency. Third, the professor thought she could learn about her students better and felt closer to them and that the dialogue journal writing was helpful for students’ fluency. However,
she was concerned about giving her students writing motivation. With these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What learners write, what they think, and how they develop while writing dialogue journals could guide learner-centered English writing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