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struct Equivalence Test and Latent Mean Analysis on the Core Creativity Competence Scale for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by Gender and the School Leve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미석(Yang Mi Seok) 김정겸(Kim Jeong Kyou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8호, 71~8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가 성별과 학교급별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잠재평균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집단 확인
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잠재평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 동일성, 측정 동일성, 절편동일성 가정이 충족되어 중·고등학생의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는 성별과 학교급별
에 따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평균분석결과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자기주도성, 리더십, 시민성과 문화의식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력, 리더십, 시민성과 문화의식 등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가 성별과 학교급별에 관계없이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단일 척도로의 개발이 타당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the core creativity competence scale for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gender and the school level and if it shows differences concerning the latent mean. The researcher conducted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to
confirm the research purpose and ran a latent mean analys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regarding gender and the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reativity competence scale for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regardless of gender and school level, as the configural, metric, scalar invariance were satisfied. Second, from the result of latent mean analysis,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male students in the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self-directedness, leadership, civility and cultural recognition; high-school students show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middle-school students in the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cooperation, leadership, civility, cultural recognition, etc. From these outcomes, the research provides a rationale for developing a singular scale by confirming that the core creativity competence scale for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can be used commonly regardless of gender or the schoo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