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성희(Seo Seung Hee) 한종희(Han Jong Hee) 송인자(Song In J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8호, 709~7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 정도를 확인하고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G 시에 위치한 K 대학의 간호대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2월 15일부터 12월 20일까지 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PASW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one way ANOVA와 사후검정 Scheffe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구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생각은 1.89점, 사회적 지지 3.90점, 자아존중감 3.63점 이었으며,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연령, 경제적 상태 및 전공만족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생각은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상자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β=-.36, p=<.001)과 사회적 지지(β=-.15, p=.014)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자살생각에 대한 약 19%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시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263 nursing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The study used a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5 to 20, 2016 and analyzed with percentage, t-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PASW 18.0 Version. Results: The findings are follows: First, average of social support was 3.90 points, self-esteem was 3.63 points and suicidal ideation was 1.89 points. Second,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conomic status and major satisfaction. Third, suicidal ide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Forth, the influencing factors in suicidal ideation wer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djusted R2=.19. Conclusion: Thus, this study emphasized that development of guidance program to decrease suicidal ideation of nursing students increasing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