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pper elementary students’ aspira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atedness, self-determ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준기(Kim Jun gi) 안도희(Ahn Doe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8호, 407~43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5학년, 6학년) 학생 1150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5개 권역에서 비례유층표집 하였다. 열망 유형에 의해 구분된 군집(고(高)열망 군집, 내재열망 군집, 저(低)열망 군집)에 따라 관계성, 자기결정성,
주관적 안녕감 간의 차이가 있는지, 변인들 간의 관계모형에서 열망유형 군집에 따른 세 군집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열망유형에 따라 군집을 구분하기 위하여 위계적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군집 간 관계성, 자기결정성,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성’의 경우, 고열망 군집이 내재열망 군집에 비해 높은 관계성을 보였으며, 내재열망 군집은 저열망 군집에 비해 높은 관계성을 보였다. ‘자기결정성’의 경우, 고열망 군집이 내재열망 군집과 저열망 군집에 비해 높은 자기결정성을 보였으며, 내재열망 군집이 저열망 군집에 비해 높은 자기결정성을 보였다. ‘주관적 안녕감’의 경우, 고열망 군집과 내재열망 군집이 저열망 군집에 비해 높은 주관적 안녕감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학생들
이 내재열망을 추구할수록 더 원만한 관계를 맺으며 생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내재 열망이 높을수록 자기결정성이 높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영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관계성이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다집단 분석 결과, 세 군집 모두 관계성이 주관적 안녕감과 자기결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열망 군집과 내재열망 군집에서 자기결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
에서 초등학생들이 어떠한 열망을 추구하는지를 이해하고, 물질만능주의, 외모지상주의, SNS를 통한 보여주기 열풍 등 외재열망을 추구하는 최근 우리나라 사회에 필요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학생들의 가치 교육
에 있어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공하고, 교육적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relatedness, self-determ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depending on the clusters separated by the types of aspirations. The subjects were 11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14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orea. In this study, students were grouped by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degrees of aspiration. As a result of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3 clusters(i. e., high levels of aspiration, intrinsic aspirations, and low levels of aspiration group(AG)). The findings showed tha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self-growth, affiliation, community contribution, physical fitness, financial success, image, and fame. Related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determ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edness, self-determ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High AG’, ‘Intrinsic AG’ and ‘Low AG’. Thirdly, as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aspiration groups. For ‘High AG’ and ‘Intrinsic AG’ students, relatedness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determination. Moreover, self-determination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intrinsic aspira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their relatedness, self-determ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enhancing students’subjective well-being, it needs to improve their relatedness and self-deter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 and directiona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values education.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research about substantive and effectiv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spi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