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Elementary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희(Lee, Sung-Hee) 이상원(Lee, Sang 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7호, 303~31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따른 초등 ‘자원순환’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학교현장에서 균형있는 자원순환교육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연구의 의미를 가진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교과는 윤리적 측면에서 자원순환 교육의 Rethink을 되새기는 수업을 하기에 적합하다. 둘째, 사회교과는 지역을 이해하고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중요하고 다루고 있으므로 현장에서 자원순환 교육을 사회교과와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수업하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과학교과는 사회교과와 더불어 자원순환에 대한 다양한 영역 및 핵심역량을 다루기에 적합하다고 분석되었다. 과학교과는 물질에 대한 기본적 이해, 생태계, 혼합물 등에서 자원순환교육의 기본적인 원리 및 개념을 학습하는 것과 매우 관련이 있다. 넷째, 실과교과는 의식주와 관련된 자원을 생산과 소비에 대한 내용과 지속가능한 사회와 미래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미술교과는 업사이클링 영역과 관련이 높다. 자원의 소비와 자원 줄이기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으나, 버려진 자원이나 쓸모없는 폐품을 잘 활용해서 원래보다 더 좋은 품질 또는 더 좋은 환경적 가치가 있는 제품으로 탄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for elementary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nd to provide a systematic education of balanced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at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al subject is suitable for teaching ethics to recall ‘Rethink’ of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On the individual level, recognizing the value of things can enhance the ability of environmental reflection and insight. Second, since social subjec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rea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local community, it is suitable to teach the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systematically in the field in connection with social studies. Third, mathematics is a subject that can enhance competence such as problem solving and information literacy. It does
not directly reveal the educational material of resource circulation, but i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to understand the main concepts of mathematics curriculum. Fourth, it was analyzed that science subject was adequate to address various areas and core competences related to resource circulation along with social subject. Therefore, science subject is much concerned with learning fundamental principles and concepts of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in basic understanding of matter, ecosystem, and mixture. Fifth, practical arts included contents about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resources related to the food·clothing·shelter, and the sustainable society and the future. Therefore, it can be utilized for the materials of the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Sixth, art subject is related to upcycling area. Although art subject does not deal directly with the resource consumption and resource reduction, it is effective for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used to utilize waste resources or useless junk to produce goods of better quality or better environmental value than the origna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