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Validation from Ot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아(Kim, Jin ah) 장석진(Chang, Seok 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7호, 653~6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타인인정추구가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2017년 5월 20일~26일까지 현재
SNS를 사용하고 있는 전국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84명을 대상으로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타인인정추구,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상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은 타인인정추구 및 SNS 과몰입 경향성 모두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타인인정 추구는 SNS 과몰입 경향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타인인정추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타인인정추구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건강성은 타인인정추구를 통해 SNS 과몰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SNS 과몰입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가족건강성과 타인인정추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상담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입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 상담에 대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validation from other people has the mediating effect on both variables above.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for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who currently use SNS from May 20 to 26,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as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family strengths perceived college students,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and validation from others, it shows that the overall correlation was high. It has been revealed that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validation
from other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Conversely, validation from others i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This means, the more college students perceive family strengths, the less they seek to be validated from others and tend to overindulge in SNS. The more they need to have validation
from others, the more they come to have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after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validation from others, it is revealed that validation from others has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It shows that family strengths affect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by pursuing other people s valid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NS overindulgence, the cause-and-result relationships within variables, such as family strengths and validation from other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provide the primary data of interventions that could improve the counselling effectiveness. Lastl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has discussed the proposal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bout the education and counsell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