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arner-centered Teaching Professionalism Program for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은(Kim, Kyoung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7호, 543~5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15

국문 초록
2015 사회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학생 참여가 전제된 학습자중심 수업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학습자중심 수업 구현을 위한 전문성 함양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2016년 2학기 S대
학교 사범대학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특정 강좌를 학습자중심 수업전문성 프로그램으로 구성, 1학기 동안 운영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중심 수업전략에 기반한 모의수업을 핵심활동으로 수업대화, 저널쓰기
를 활용하여 수업전문성의 제 요소(기본 지식과 능력, 수업기획 능력, 수업실행 능력, 전문성 제고 노력)를 반영하는 강좌를 구성하였다. 해당 강좌를 통해 학생들은 경제과목 및 교수법에 대한 이해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학생중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한다는 것의 의미를 실질적으로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유의미한 학생 활동 구성, 수업전략, 상호작용 활성화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생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교사의 역할 및 전문성 인식에서 학습자에 대한 고려가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수업전 문성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learner-centered teaching professionalism program for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employed action research methodology. For study, the teaching course for economics education of S University was selected and organized several activities such as teaching
demonstration based on learner-centered teaching strategy, conversation on lesson,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23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attended this course. They experienced planning the lesson, teaching, learning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through this course. All outputs of this
course were analyzed such as journals, lesson plans, work sheets for conversation on lesson and so on.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Students were found to establish more and specific perspectives on economic subjects, teaching methods, role of teacher, and professionalism. In particular, they were found to make practical knowledge about meaningful activity composition for learners, teaching strategy, and how to activate interaction with learners. These results shows necessity to discuss on how to operate and content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