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hallenges teachers and students face when student-centered policy was incorporated in the classroo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지민(Cho, Jee 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5호, 383~40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국문 초록
교육부는 빠르게 변화하는 국제환경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학생 중심의 교수 및 학습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학교 교과과정 개선노력을 추진해 왔음. 학생 중심의 교수법은 학생 들에게 독립적으로 배우고, 문제 해결능력을 키우며, 보다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사고력을 배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는 것이 목적임 이 논문은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법이 교실 현장에서 실행될 때 교사와 학생들이 직면하게 되는 역할과 도전과제 그리고 성공사례 등을 폭넓게 탐구함으로써, 과연 어떠한 요인들이 교사와 학생들의 역할과 행동방식 등에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본 논문에서는 교실에서의 구체적인 사례와 경험들을 수집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방법론을 사용하였음. 포커스 그룹 방법론은 참여자 들의 언어를 통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현상들에 대해 깊은 이해와 통찰력를 얻을 수 있게 해줌.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법이 시행되는 과정에서 결과적 으로 우리사회의 너무 순응적인 성격 의 학교 문화가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의 역할을 강하게 규정하고 있고, 나아가 우리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신념이 교사와 학생들의 행동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따라서 앞으로 학교 교실 현장에 새로운 교수법 도입 등 큰 변화를 주거나 개혁을 추진하고자 할 경우, 학교가 처한 여러 사회문화적 조건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음
영문 초록
To cater to the needs of the fast-changing global world,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sponded with efforts to overhaul the school curriculum by implementing a more student-centered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The student-centered pedagogical practices aimed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independently and moreover, increase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and to cultivate higher order, critical and creative thinker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oles, challenges and successes, teachers and students encountered when student-centered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were implemented in the classrooms. The study was exploratory in nature and used focus group methodology to examine teacher and student roles, and to collect their views and experiences o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context.
The data from the focus group methods is most often participant’s words, allowing the researcher to capture language, to explore and gain insight and understanding to what drives or leads teachers and students to act one way or another. The findings revealed that conformist nature of the school system defines not only the roles of the teacher and student but the content of school culture. Moreover, the socio-cultural values and belief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re informative and predictive of student and teacher behavior. Therefore, when implementing future reforms or making changes to the classrooms, the existing school conditions should always be taken into consideration.
목차
I.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Study methods
Ⅳ. Result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