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Receptive Skill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재파(Baek Jae P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5호, 6689~712쪽, 전체 -597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이해 교육 분야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증거 기반 교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83년에서 2017년까지 발표된 읽기 교육 분야 38편의 연구에서 54개의 효과크기, 듣기 교육 분야 37편에서 54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한 후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648로 중간 효과크기에 해당하고, 듣기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820으로 큰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둘째,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읽기 교육 분야의 경우 읽기 자료 활용(.948), 어휘(.742), 전략(.667), 다독(.582), 읽기 방법(.525)의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교육 분야에서는 발음(1.413), 어휘(1.109), 전략 (1.006), 매체 활용(.970), 섀도잉(.681), 받아쓰기(.567), 딕토글로스(.449)의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습자 언어권, 숙달도, 학급 인원수, 수업 횟수, 학습 목적을 조절변인으로 상정하고 분석한 결과 읽기, 듣기 교육 분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분석된 연구 결과는 영어교육학 분야에서의 메타분석 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evidence-based instruction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n teaching of receptive skills in Korean and presenting the results. To this end, 54 effect sizes were extracted from 38 studies on reading education and 54 effect sizes from 37 studies on listening education for a meta-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tire effect size of reading education was medium at .648 while that of listening education showed a large effect at with .820. Second, the analysis on effect sizes b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vealed the effect sizes in reading education with following order: use of reading materials (.948), vocabulary (.742), strategy (.667), extensive reading (.582), reading method (.525). The effect sizes in listening education sections were:
pronunciation (1.413), vocabulary (1.109), strategy (1.006), use of media (.970), shadowing (.681), dictation (.567), Dictogloss (.449). Third, an analysis based on the moderating variables including native language of Korean learners, proficiency,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number of lessons, purpose of stud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reading or listening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 was compared and discussed with the meta-analysis result from studies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