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mother’s Parenting Style and Attitude toward School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곽기상(Kwak, KiS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5호, 527~5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와 학교학습태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5월 2일부터 2018년 5 월 9일까지 K도 W시에 소재하는 1개 여자중학교 60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8년 5월 29일부터 2018년 6월 5일까지 K도 W시에 소재 하는 2개 남·녀 중학교 학생들을(1-3학년) 대상으로 모의 양육태도, 학교학습태도, 학업적 정서조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살펴보았 다. 연구결과는 첫째, 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학교학습태도와 정적으로, 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학교학습태도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학교학습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학업적 정서조절과 학업적 정서조절은 학교학습태도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학교학습태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정서조절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학교학습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학업적 정서조절을 거쳐 학교학습태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학교학습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적 정서조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mother’s rearing style and attitude toward school learning. For thi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wo female and 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1-3 grade) in K province W cit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rearing style and attitude toward school learn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and the attitude toward school learn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mother’s rejective parenting style and the attitude toward school learning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style and the attitude toward school learning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howed complete mediation effect between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and attitude toward school lear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attitude toward school learning for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mprove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s importa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