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 Mitigation Program on Attitude Change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혜숙(Ha Hye Suk) 김명섭(Kim Myung Seop)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4호, 585~6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성희롱 예방교육과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성희롱 예방교육에서 부정적 정서 해소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의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 이수자 2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학기 초 대학의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이 진행되는 현장에서 수집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성희롱 예방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실험집단에는 116명, 통제집단에는 143명이 할당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을 제공한 후 교육 참여자들의 태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은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은 인지·정서·행동 모든 영역에 있어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효과크기 또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성희롱 예방교육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egative emotion mitigation program, whi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ping with negative emotion of participants, on attitude change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This data was coll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where professorial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was conducted. Two hundred fifty-nine professors participated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under 1 of 2 groups: negative emotion mitigation program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evention education, participant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 changes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affect mitig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program in all aspects of the attitude change and the effect sizes were also relatively hig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aculty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program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