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Mindfulness Yoga on Career Program Effectiveness of College Freshmen:Focusing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epres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진건(Moon Jin Keon) 손강숙(Shon Kang 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4호, 515~5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진로 및 취업 교과목으로 진로프로그램에 마음챙김 요가를 추가하여 실시함으로써 대학신입생들이 자신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진로결정 시의 자기효능감을 증가시켜 진로발달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산 소재 대학의
대학 신입생 총 5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을 무처치의 통제집단, 진로 교과목을 통해 진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1, 진로 프로그램에 마음챙김 요가를 추가하여 실시하는 실험집단2로 나누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와 우울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고 집단간 평균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효능감의 경우, 실험집단2에서만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의 유의미한 평균 변화가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에서도 실험집단2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의 경우,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에서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의 유의미한 평균 변화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의 우울 점수에 있어서 집단별 다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 간 처치에 따른 우울 점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실험집단2의 우울 점수가 통제집단과 실험집단1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진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제안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indfulness yoga on career program effectiveness focusing on college freshmen’s depress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 total of 56 college freshmen studying at four-year college in Busan were studied. The subjects were 3 groups; The control group is an untreated group. Experiment group 1 is a group that carries out a career program. Experiment group 2 adds mindfulness yoga to the career progra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and depression scale were administered by pre- and post–test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nalyzed. As a result, first, in the comparison of the pre-and post-scor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mean was observed only in experimental group 2. In the group comparis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experimental group 2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Second, in the comparison of the pre-and post-scores of depres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mean was observed in experimental group 1 and experimental group 2.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2 was that post-scor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scores, and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1 was that post-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scores. Therefore, different aspects of each group were confi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areer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