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reativity-Character Factors in Activity Method of Teacher’s Guidebooks on 3 Year old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민정(Kang Min jung) 김경철(Kim Kyung chu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4호, 325~35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활동방법의 창의인성 요소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창의인성 요소를 생활주제별, 활동형태별, 활동 영역 및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활
동방법, 총 3298개이다. 예비분석은 2017년 1월 16일부터 2월 24일까지 6주간 두 번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본 분석은 2017년 3월 6일부터 5월 16일까지 약 12주간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인성 유목 중에서는 ‘문제에 관심 갖
기’, 세부유목 중에서는 ‘탐구능력’, 세부요소 중에서는 ‘집중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생활주제 중 유치원과 친구, 나와 가족, 동식물과 자연, 건강과 안전, 우리나라는 ‘집중력’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우리 동네, 생활도구, 교통기관, 봄여름가을겨울은 ‘적극성’이, 환경과 생활은 ‘개방적 탈고정관념’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활동형태 중 자유선택 활동은 ‘자기조절’ 요소, 대 소집단 활동은 ‘집중력’, 바깥놀이 활동은 ‘개방적 탈고정관념’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활동영역 및 유형에서 쌓기 영역과 역할 영역은 ‘자율적 문제해결’ 요소가, 수 조작 영역과 현장체험은 ‘구체화된 선택’, 이야기 나누기와 요리는 ‘적극성’, 언어영역과 음률 영역은 ‘자기조절’, 게임은 ‘인내와 협동’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창의인성 요소가 활동영역 및 유형에 따라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reativity-character factors are distributed in the activity method presented in 3 years old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For this, we analyzed the total of 3298 activities in the teacher s guidebook by daily subject, activity style, activity domain and type. The preliminary analysis was carried out twice from January 16, 2017 to February 24, for 6 weeks. This analysis was conducted for about 12 weeks from March 6, 2017 to May 16,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ow interested in problem , inquiry ability , and concentra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among creativity-character factors. Second, concentra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among creativity-character sub factors on kindergarten and friends, I and family, animals plants and nature, health and safety, and my country. Aggressiveness was the most appeared on our neighborhood, life tool, transportation agency, spring summer autumn winter, open de-stereotyping was the most appeared the most in environment and life. Third, free choice activit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n self regulation factor, big small group activity was concentration , outdoor play activity was on open de-stereotyping . Fourth, in the domain of block and role pla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n autonomous problem solving , number operation and field trip were on ‘concrete choices’, story-telling and cooking were on aggressive , language and music were self-regulation , game was on patience and cooperation , it can be seen that creativity-character sub factors was distributed evenly according to the domain and type of activ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