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ies on major viral diseases of stray cat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예방수의학회
- 저자명
- 한동운(Dong Un Han) 강문일(Mun Il Kang) 김성호(Sung Ho Kim) 장규태(Kyu Tae Chang) 김희선(Hee Sun Kim)
- 간행물 정보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Public Health』Vol.23, No.4, 291~29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육 및 서식 고양이에 대한 주요한 바이러스성 질병들-FPL, FIP-I형과 2형, FeLV, FHV, FCV, FIV-에 대한 항체 수준을 파악하므로써 이들 질병의 바이러스성 질병의 감염수준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1995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전국을 서울ㆍ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의 5개 구역으로 나누어 야외에 서식하고 있는 고양이 240두를 수집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간접 형광항체법으로 FIV를 제외한 6종의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보유율을 검사하였다.
FCV의 항체 양성율은 71.2%로 가장 많은 개체에서 양성율을 보였고 FPL 65.8%, FIP-1.34.6%, FIP-2 29.6%순으로 나타났으며 FeLV는 양성소견이 발견되지 않았다.
야생고양이의 바이러스 항체 분포율은 FCV는 서울ㆍ경기지역에서 86%, 강원지역 78%, 전라 74%, 충청 64% 그리고 경상에서 50%의 감염수준을 보였고, FPL 바이러스는 서울ㆍ경기지역이 82%로 가장 높았고 강원, 전라지역이 70%, 충청과 경상지역이 56%와 47.5%의 순으로 나타나 중부지방이 남부지방에 비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FIP-1 바이러스는 서울ㆍ경기지역이 42%, 강원 38%, 전라 36%, 충청 34%, 경상 20%를 보였고, FIP-2, 바이러스는 서울ㆍ경기지역이 34%, 강원 40%, 전라 26%, 충청 24%, 경상 22.5%로 FCV와 FPL에 비해 낮은 항체 보유율을 보였다.
각 바이러스에 대한 보유항체 수준이 중등도 이상인 ++ 와 +++의 형광성을 보인 경우는 FCV가 42.1%, FPL이 22.5%, FIP-1과 FIP-2는 각각 15%, 9.1%의 수준을 보였다. FIV에 대한 항체를 검사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로 20두씩을 선발하여 총 100두에 대하여 RIM 검사를 실시하여 강원지역에서 수집된 수컷 1마리에서 항체가 검출되어 국내의 FIV 발생을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국적인 FIV 감염상황은 1%(1/100)의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recent informations on sero-prevalence against seven viral pathogens including feline panleukopenia (FPL) virus, feline leukemia virus (FeLV),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virus type 1 and 2, feline herpesvirus (FHV), feline calicivirus (FCV), and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FIV). Sera were screened by indirect immunoflurescent antibody assay (IFA) against FCV, FPL virus, FIP virus type-1 and 2, FeLV and FHV. In seroepidemiological survey of 240 cats from 5 different regions across the country, 171 cats (71.2%) showed seropositives against FCV, 158 (65.8%) against FPL virus, 83 (34.6%) against FIP virus type-1 and 271 (21.6%) against FIP virus type-2. Seropositives to FCV were detected in 86% of SeoulㆍKyounggi, 78% of Kangwon, 64% of Chungchong, 74% of Cholla, and 50% of Kyoungsang, respectively. For FIV tested by rapid immunomigration test, 100 stray cats was tested but only one male stray cat in Kangwon area was mostly likely to appear positive. However, there were not detected the seropositives to FHV and FeLV. From these results, stray cats in Korea were consistently exposing the various viral pathogens including FCV, FPL virus, FIP virus type-1 and 2.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국문요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