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the fluorescence formed during in vitro lipid peroxidation of bovine erythrocyt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stability of intact erythrocyte
- 발행기관
- 한국예방수의학회
- 저자명
- 조종후(Jong Hoo Cho) 박상열(Sang Youel Park)
- 간행물 정보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Public Health』Vol.23, No.3, 213~21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9.30
국문 초록
적혈구 막지질의 과산화 유도 방법에 따른 형광의 특성과 절혁구 안정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적혈구 막지질의 isopropanol-chloroform 추출액은 여기파장(EX) 360nm에서 방사파장(Em) 402nm와 440nm의 두 형광 파장을 나타내었다.
산소로 24시간까지 노출 처리한 적혈구의 막지질 형광 파장은 Em 402nm와 440nm에서 완만한 상승을 나타내었으며 적혈구 용혈률의 완만한 동반 증가의 경향을 보였다.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한 막지질의 형광 파장은 Em 402nm 파장이 소실되고 Em 440nm 파장의 상승과 함께 과산화수소 처리농도 20mM에 이르기까지 Em 425nm로 점차 이동하는 경향이었다. 적혈구 용혈률은 10mM 과산화수소 처리까지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20mM 처리시 급격한 용혈률 증가를 나타내었다.
Ascorbate/FeSO₄와 ascorbate/FeCI₃의 처리시 막지질 추출액에 의한 형광 peak는 Em 402nm peak의 소실과 10/.01mM 농도까지 440nm peak의 상승을 보였으나 이후 50/0.5mM 농도까지 큰 폭으로 저하하면서 455~457nm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적혈구 용혈률은 형광강도가 증가하는 동안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형광이 소실되기 시작하면서 급격히 증가하여 안정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characterize the fluorescence in lipid containing extracts obtained from erythrocytes treated with molecular oxygen, hydrogen peroxide and ascorbate plus iron(Fe²⁺ or Fe³⁺) with the subsequent effects on the stability of intact erythrocytes. Erythrocyte lipid containing extracts in normal bovine blood showed 2 fluorescent peaks of 402nm and 440nm in the observed fluorescent spectra when excited at 360nm. When erythrocytes were treated with molecular oxygen the 2 fluorescent peak were gradually enhanced in proportion to the exposure time and percent hemolysis of intact erythrocytes resulted in gradually increasing levels. Peroxidation of erythrocyte membrane lipids by hydrogen peroxide induced the changes of fluorescent spectra and revealed with an increase of 440nm fluorescent peak and disappearance of 402nm peak. In the much higher level of hydrogen peroxide, the peak shifted to 425nm. Percent hemolysi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t 0~10mM hydrogen peroxide treatments, whereas it was greatly increased after 20mM hydrogen peroxide treatments. Peroxidation of erythrocyte membrane lipids by ascorbate /iron(Fe²⁺ or F³⁺) induced an increase of 440nm peak with a disappearance of 402nm peak when treated with low levels from 0/0 to 10/0.1 mM ascorbate /iron as observed from the hydrogen peroxide treatment. Under these treatments the percent hemolysis remained unchanged but 10/0.1~50/0.5mM ascobate /iron induced great decreases in the fluorescent intensity at 440nm in contrast to the high percent hemolysis.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국문요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