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Seating Arrangements in Large-Group Discourse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보람(Oh, Bo Ram) 윤현숙(Yoon, Hyun 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3호, 523~54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27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시간 자리배치 유형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야기나누기 시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자리배치 유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유치원 만 4세반 2학급 교사와 유아들을 대상으로 ‘═ (일자)’, ‘╭╮(반원)’, ‘┌┐(디귿자)’, ‘O(원형)’의 네 가지 자리배치 유형에서의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동영상 촬영한 후,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업분석 결과, ‘═ (일자)’자리배치 유형에서 교 사발언 빈도 비율이 높고,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지시적인 수업이 일어났다. 또한, 유아 발언 비율은 ‘╭╮(반원)’, ‘┌┐(디귿자)’, ‘O(원형)’, ‘═ (일자)’유형 순이었으며, ‘═ (일자)’에 비해 ‘╭╮(반원)’과 ‘┌┐(디귿자)’유형에서 2배 정도 발언 비율이 높았다.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의 비언어적인 상황을 분석한 결과, ‘═ (일자)’에 비해 ‘╭╮(반원)’, ‘┌┐(디귿자)’, ‘O(원형)’ 자리배치 유형에서 단순 대기보다 생각하느라 대기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는 이야기나누기 활동 자리배치 유형이 유아의 참여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앞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계획 시 자리배치 유형에 대한 보다 깊은 탐색이 필요하다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seating arrangement during the large group discourse in early child institution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Flanders language interact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 child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seating arrangement typ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 classes of four-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in the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in South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hild according to the types of seating arrangement, the classroom activities were video recorded and transcribed afterwards.
The three child education specialists whose reliability were established by their familiarity with the manual of AF (Advanced Flanders) Analysis Ver. 3.54 program(Kim, 2010), which is a Flanders language interaction analysis program, analyzed index, frequency of categories and percentage, major ten average indices, and non-verbal sub categories. In conclusion,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child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placement in the large group discourse in early child institutions. This suggests that the place arrangement type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large group discours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earch for and apply the most appropriate type of seating arrangement to insure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dynamic teacher-child interaction at the time of the large group discourse class plann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