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Pupil Responses in Video Learning: Focusing on Learner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윤미(Yunmi, Shin) 조일현(Il-Hyun J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3호, 2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27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영상 학습 과정에서 발생한 대학생의 동공 반응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73명을 대상으로 2017년 1학기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동영상 학습 순서에 따라 개별 학습자의 특성과 동공 반응의 기술통
계를 살펴본 뒤 집단에 따른 차이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남학생이 모든 학습 과정에서, 전공은 인문계열이 시험 1과 학습 2에서, 자연계열이 학습 1과 시험 2에서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둘째, 성취도의 경우 사전 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학습 1에서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으며 사전 성취도가 낮은 집단은 학습 1을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사후 성취도의 경우 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모든 학습 과정에서의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셋째, 수학불안은 낮고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수준의 집단이 모든 학습 과정에서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시험 2에서만 수학불안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체적인 동영상 학습 과정에서는 시험보다 학습에서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 과정에서 측정된 동공 반응을 학습자 특성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동영상 학습 과정에서의 events of instruction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함을 도출하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교수 설계 도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llege students in video learning in the first semester of 2017. For learner characteristics, gender, major, achievement, math anxie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were used. In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of pupil response were deriv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and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the greatest pupil response in all the lessons, the major in the humanities in tests 1 and 2, and the naturalistic in the lessons 1 and 2. Second, pupil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earning 1 than in high-achievement group, and
pupil response was larger in all groups except learning 1. On the other hand, the pupil response of the group with high post-achievement was large in all learning processes. Third, learners with low mathematics anxiety and high mathematical self-efficacy showed large pupil responses in all learning processes. Fourth, in test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Fifth, the pupil size was larger in learning than in the test. However,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ceived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the pupil responses in the learning process were different. In a follow-up study, it is suggested to derive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of learning images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through additional analysis as events of instru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