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rovment of Students Satisfation through Learner-Centered Extracurricular Programs: Focusing on S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훈(Park, SangH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3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27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특징을 분석하고 학생 인식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대학 생활 만족도 제고에 효과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S 대학 재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전공 공부, 취업 준비, 대인관계, 학습 동기, 자기계발, 대학 생활, 소속감, 비교과 추천 의향 8개 요인별 만족도 설문조사를 하였다. 데이터 코딩 후 SPSS 22.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성별, 학년별, 요인별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중심(School-Based)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전공 공부 요인에서 만족도 차이를 보였으며, 남학생의 만족도 점수가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 간에는 취업 준비, 대인관계, 학습 동기, 대학 생활, 소속감, 비교과 추천의향 6개 요인에서 만족도 차이를 보였으며, 대체로 3, 4학년의 만족도 점수가 1, 2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학생 중심(Learner-Centered)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성별에 따른 요인별 만족도 차이는 없었고, 학년 간에는 취업 준비 요인에서만 만족도 차이를 보였으며, 3학년의 만족도 점수가 1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 중심 비교과프로그램과 학생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 간의 요인별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취업 준비를 제외한 7개 요인에서 학교 중심보다 학생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은 학생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해 대인관계 개선에 대한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대학들이 학생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 확대에 역량을 더 집중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o propose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for students satisfaction with extracurricular programs through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manage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t S university, and 293 students participated.
Questionnaires consisted of eight factors: major study, job prepar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motivation, self-development, college life, sense of belonging and extracurricular recommendation. As a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articipants gender and grade levels on satisfaction with school-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In relation to the gender level, mal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female students on satisfaction of major study factor. With regard to the grade level, junior and senior students scored higher than freshman and sophomore students on satisfaction of job prepar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motivation, college life, sense of belonging and extracurricular recommenda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the participants gender level on stisfaction with learner-centered extracurricular program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ade level. Junior scored higher than freshman on
satisfaction of job preparation factor. Students satisfaction on learner-centered extracurricular programs showed higher than their satisfaction on school-based ones in major study, interpersonal relationship, motivation, self-development, college life, sense of belonging and extracurricular recommendation factor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students are more helped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learner-centered extracurricular programs. Therefore, the universities should expand the management of learner-centered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minimize school-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