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Son A Chang(장선아) Hyo Jung Kim(김효정) HyangHee Kim(김향희) Seong Hee Choi(최성희) BoMyung Hwang(황보명) Hee-June Park(박희준) Hyun Rin Park(박현린) Jaeock Kim(김재옥)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2, 506~518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 교육과정 졸업생들의 구직 및 언어재활현장의 구인 현황을 파악하여 교육기관인 학교와 사회의 직업을 잇는 정책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직정보 파악을 위해 총 50여 편의 관련 논문들 중 분석에 적합한 14편을 분석하였으며, 구인정보 파악을 위해 2013년부터 5년간 한국언어재활사협회에 게시된 구인공고 2,853건 중 1,326건을 분석하였다. 결과: 구직연구에서는 ‘언어재활사 근무 실태’와 ‘언어재활 관련 요인들’, ‘직업 및 급여 만족도’ 정보를 주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특히 근무 지역, 근무기관 형태, 급여 관련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업무 만족도가 급여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구인영역에서는 2013년 이후 매년 600여 건의 구인공고가 게시되어 왔으며 주로 겨울에 가장 많이 공고되었다. 지역으로는 서울/경기 지역에서, 근무기관 형태로는 사설 언어재활센터의 공고가 가장 많았다. 고용형태는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이 약간 많았으며, 근무형태는 전일제보다 시간제가 많았고, 급여형태는 연봉제보다 비율제가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구직과 구인 모두 대도시의 사설 언어재활센터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일관된 맥락을 보였다. 현재 주로 20-30대로 구성되어 있는 언어재활사 직종은, 근무형태의 자율성과 업무의 전문성을 가지고 다양한 근무기관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젊은 언어재활사들의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2012년 국가자격 법제화로 발전의 기틀을 다진 언어재활사의 직업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order to provide a fundamental understanding and prospective suggestions for the profess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y (SLP), job searching prospects were investigated via a review in the field, and job postings were analyzed based on advertisements posted on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KSLP) website. Methods: A total of 14 studies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job hunters and 1,326 job postings were analyzed. Results: The main focus of job searching literature had been on ‘job status’, ‘job description’, and ‘job satisfaction’. More specifically, ‘job location’, ‘employment facility’, and ‘salary/wage’ were the most frequently surveyed aspect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SLPs working in private practice or for service providers. Their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wage satisfaction’. The job postings on the KASLP website contained information about ‘job location’, ‘employment facility’, ‘type of employment, working, and wage’ and ‘benefits’. Most of them were posted by private practice organizations or service providers located in big cities, and were primarily seeking temporary, part-time based, and/or revenue-sharing fee-based employees. Conclusion: Job searching and posting occurs primarily in the private practice or service provider context in cities. Currently 80% of the SLPs in Korea are in their 20’s and 30’s; the profession has flexible positions for those with professional expertise and provides a wide range of choices for employment in terms of types of facilities and work. There should be a constant effort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as well as therapy quality in the SLP profess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