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mprehension of Compound Words in 3-4 Grade School-Aged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이용수 18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Ji Sim(심지) Eun-Ju Lee(이은주)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2, 288~29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학령기 어휘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합성어는 형태소의 의미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합성어 이해를 위해 형태소의 의미를 이해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읽기이해부진아동의 합성어 의미 처리 특성을 형태소 의미의 우세와 열세 조건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3-4학년 읽기이해부진아동 11명과 일반아동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형구의 마지막에 위치한 동음이의어의 의미가 이후에 제시되는 합성어에 포함된 동음이의어의 의미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의미 관련성 판단 과제를 사용하였다. 이때 관형구 이후에 제시되는 합성어는 우세의미 조건과 열세의미 조건으로 나뉘며 각각의 조건에 대한 정반응수와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우세/열세의미 조건에서 모두 저조한 수행을 보였고, 의미판단시간도 더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아동은 일반아동과 달리 복잡한 다형태소로 이루어진 합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능력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읽기이해부진아동의 합성어 의미 처리와 관련하여 어휘지식, 단어의미처리속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Compound words, which occupy a high ratio in school-aged vocabulary, for necessary for semantic understanding of morphemes due to semantic combina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semantic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compound words through dominant/subordinate tasks for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and 11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3rd to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 meaning of the homonym at the end of the phrase was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homonym used in the compound words presented later through a semantic judgment task. At that time, the target word presented after the phrase was divided into the dominant and the subordinate, and the total number of the correct responses and the responses time were measured for each condition. Results: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correct responses and response times according to the dominant and subordinate tasks. Conclusio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processing the meaning of compound words made up of several morphemes. The study addresses the vocabulary knowledge, word semantic processing speed in relation to semantic processing of compound words in children with poor comprehens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