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irst Graders` Usage Aspect of Vocabulary: Focused on Experiential Writing tex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종윤(Choi, Jong-y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2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어휘 사용 양상을 생활문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 150명(남학생 75명, 여학생 75명)이고, 연구 기간은 2017년 7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체 어휘 빈도수(token), 개별 어휘 유형 수(distinct words)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둘째, 1054개의 전체 개별 어휘 유형 중 상위빈도어휘 100 개를 대상으로 어휘 빈도의 상세 분석을 한 결과 품사별로 명사가 49개로 가장 많았고 동사가 25개, 형용사가 6개, 부사가 16개, 관형사가 2개, 감탄사가 1개, 수사가 1개였다. 셋째, 어휘 오류 발생 확률은 명사나 부사보다 형용사나 동사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주제 어휘를 분석한 결과 사람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 시간과 관련된 어휘, 활동을 나타내는 어휘 등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이 실제 쓴 글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어휘 사용 양상을 살폈다는 점, 워드스미스와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개별 텍스트를 염두에 둔 빈도수 계산, 전체 어휘와 개별 어휘의 빈도수와 비율, 주제 어휘 산출 등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하였다는 점, 한글 해득 교육과 어휘 교육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aspects of using words by first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based on essay text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xical frequency by sex for 150 first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75 for males, 75 for females), girl students had relatively more tokens and distinct words than boy students. Secondly,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for 100 highly frequent words from 1054 distinct words.
As for high frequent words by parts, there were 49 nouns, occupying the most, 25 verbs, 6 adjectives, 16 adverbs, 2 determiners in addition to 1 exclamation and 1 numeral. Thirdly, this study identified levels and types of word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lexical errors was higher in adjectives and verbs than in nouns and adverbs. Finally, it extracted key words from essays written by students. Hence, words showing human relations and activities, and having something to do with time were extracted as key word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aspects of using words for essays written by first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calculated
token and ratio of the entire and distinct words, and extracted key words considering individual texts in a statistic manner using wordsmith and R program. It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Hangeul comprehension education and lexical education desig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