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ategies for Improving Teaching Effectivenes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Focusing on the Field of Da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차은주(Cha Eun J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2호, 569~5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범위는 교수행동 관련 문헌 및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이후의 문화예술교육사 관련 문헌으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화예술교육사는 국가자격제도를 통해 양성되며 문화예술교육 및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기획, 문화예술교육 연구의 실행 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수업전문성 증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이 필요하며, 교수단서의 제공, 의사소통 역량 강화, 학생관찰 체크리스트 활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 개발을 위해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수업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문적 노력, 교수효율성 훈련 프로그램 개발, 전문적인 훈련 기관의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받는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문화예술 향유와 창의력 함양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strategies for improving teaching effectivenes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For achieving the study purpose, the understanding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definition and qualification system), job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concept of teaching effectiveness were examin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efficient teaching activities, which are applicable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were considered,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re professional manpower to fulfill social responsibilitie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level-1 and level-2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re being produced through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although they are not teaching staff according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job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s classified in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arts and culture program management planning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research, and is focused on instructional performance capability. Second, as strategies for efficient teaching activit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provision of teaching cues, strengthening of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use of student observation checklist were suggested. Third,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reinforc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develop teaching effectiveness programs and found a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e. These are to enable students receiving benefit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field of dance to enjoy effective culture and arts and to improve their creativity.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making a contribution to improvement in the effec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목차
Ⅰ. 서 론
Ⅱ. 문화예술교육사의 이해 및 전문성
Ⅲ.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