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lood Fragility Curve under Local Intensive Precipitation for Major Infrastructur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범진(Kim Beom Jin) 한건연(Han Kun Yeun) 금호준(Keum Ho Jun) 이재영(Lee Jae Yeong) 김현일(Kim Hyun Il)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454~454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최근 국지적인 호우사상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국가 주요시설물에 대한 외부침수의 위험성은 2000년 이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가시설물에 있어서는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대상 부지내의 홍수발생시 주요시설물에 기능마비가 발생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대규모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부침수에 대비할 수 있는 위험도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 부지에서 RCP4.5와 8.5 시나리오 조건에서 LIP(Local Intensive Precipitation)산정을 위해서 기후변화을 영향을 고려한 PMP 값을 재산정하고 이를 빈도별 확률강우량과 비교검토 후 극한호우사상은 선정하였다.
외부침수에 대한 재해도의 평가를 위해서 대상 사회기반시설에 대해서 극한홍수조건과 외부경계조건으로 설정한 후 부지에 대한 2차원 수리분석을 실시하고 발생빈도별 침수심, 침수강도 등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강우지속시간별 빈도별 재해도 곡선(Fragility Curve)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집중호우 조건하에서 국가 주요시설물에서의 침수심, 침수강도 등에 대한 새로운 재해도 곡선을 산정함으로써 중요한 시설물(SSC; Structure, System and Component)의 내수 설계, 홍수 방지기능 설계, 홍수 방지 대책 및 절차의 고도화 및 홍수 저감 기능 평가에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