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pplication of the A-PDA Model For the Interconnected Operation Among Adjacent Block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In Case of Emergenc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옥수연(Oak SueYeun) 박규진(Park KyuJin) 진정한(Jin JungHan) 전환돈(Jun HwanDon)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418~418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상수관망 시스템은 중요 사회기반시설로 안정적이고 안전한 공급을 추구하나, 내/외적인 요인들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비정상상황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비정상상황으로 인한 용수공급에 차질이 생길 시, 수계전환에 따른 비상급수는 매우 효율적인 대비책 중 하나로서 수리해석을 통해 공급능력 평가 및 관망의 설계 보완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수리해석 모형들은 무한수원의 가정을 적용하고 있는 바, 비상연계 수리해석 시 비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배수지의 저류량과 유입량을 고려한 Advanced-Pressure Driven Analysis(A-PDA) 모형을 적용하여 A시의 수계전환 시나리오를 모의하였다. 3개의 배수지가 각각 문제 발생하는 시나리오들에 대하여 A-PDA로 수리해석을 하였으며, 시나리오들의 특성에 따른 분석 및 배수지별 고갈시간을 확인하였다. A-PDA 모형을 통한 수리해석은 기존 수리해석 모형에서는 모의가 불가능했던 비정상상황에서의 공급 가능 시간 산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배수블록 간 비상연계 시 수리해석을 통하여 최대 연계 가능 시간 확인 가능하다. 이는 비정상상황에서의 복구 및 시설물의 운용에 있어 운영자 측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수리해석 결과를 활용한 비상시 관망의 성능 평가 및 시간 기준에서의 평가 지표 개발 또한 가능하다. 또한 비상연계 시의 공급능력을 평가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추가 공급 가능 범위 및 연계능력 향상을 위한 관망 설계 보완 방안을 제시하는데 활용가능하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