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upporting Anchor of the O-NET(Protection System for Debris Flow)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심석래(Sim Suck Rae) 박재성(Park Jaesung) 신명용(Shin Myoung Yeoung) 강현욱(Kang Hyun Wook) 이재신(Lee Jae Sin) 박기주(Park Ki Ju)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411~411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연도금 PC강연선(JIS G 3536:2008)을 활용하여 제작하는 DEX-ANCHOR의 개발 및 실내 시험에 관한 연구로서, 투과형 토석류 대책시설 O-NET(토석류 포획망)의 지지부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투과형 토석류 대책시설 O-NET(토석류 포획망)’이란 토석류와 유송잡물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투과형 토석류 대책시설이다. 최근 토석류 포획망에 관한 다양한 연구 및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토석류 발생시 작용하는 충격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지지부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은 미비한 수준이다. 특히 기존 토석류 포획망의 지지부는 주로 파단하중 230KN의 Φ22mm 와이어로프(KS D 3514)로 제작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Φ15.2mm의 아연도금 강연선(SWPR7BL)을 활용하여 DEX-ANCHOR를 개발하였다. Φ15.2mm SWPR7BL 아연도금 강연선은 KS D 7002:2011에서 정의하고 있는 강연선 SWPC7BL의 아연도금 사양으로 261KN 이상의 파단하중을 갖고 있다. 개발된 DEX-ANCHOR에 대한 실내시험은 강연선 밀시트 사양기준으로 파단하중 95%이상에서 5분간 유지하는 시험과 앵커체가 파괴될 때가지 인장하는 파단시험으로 진행되었다. 시험결과 파단하중의 95%인 259.7KN(밀시트 기준)에서 5분간 유지할 수 있었으며, 450.8KN 인장하중에서 DEX-ANCHOR 헤드 부분의 강연선 소선이 파단되었다. 강연선 소선의 파단이 발생한 부위는 강연선이 절곡되는 DEX-ANCHOR 헤드 부분으로서 강연선에 인장하중이 아닌 횡하중이 작용되며 파단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 토석류 포획망의 지지부에 대한 관련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관련 기준의 설정과 품질기준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