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certainty Evaluation for the Flash Flood Warning System Introduced to Ungauged Mountain Basin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진욱(Lee Jinwook) 조은샘(Cho Eunsaem) 송성욱(Song Sunguk) 이현욱(Lee Hyunwook) 유철상(Yoo Chulsang)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406~406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산지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이 채택하고 있는 기준 산정 방법을 검토하여 그 불확실성을 파악하였다. 돌발홍수예경보 발령기준 산정 과정은 강우-유출 해석의 역순이므로, 본 연구에서도 그 순서에 따라 유역출구에서의 유출 특성, 직접 유출과 유효우량의 관계, 유효우량과 총 강우량의 관계 순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과정상 특히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판단되는 유역 출구에서의 하폭 추정, 유출 모형의 매개변수 중 하나인 특성속도의 결정, 아울러 침투 모형의 매개변수인 CN값의 결정상 존재하는 불확실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총 30개의 산지소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4개 유역에 대해서는 현장조사를 통한 심층 분석을 추가하여 도출된 결과의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세 가지 인자를 모두 고려한 경우에는 -29.41% ~ +47.44% 정도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 유역에 대해 실측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산정된 발령 기준은 기존의 기준에 비해 평균적으로 +8.17% 크게 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측 하폭과 CN은 기존의 값에 비해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측 특성속도의 경우 시스템의 값에 비해 다소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영향을 종합해보았을 때, 암석노출지를 고려한 CN의 영향보다는 실측 하폭과 특성속도로 인한 영향이 더 크기 때문에, 발령기준이 기존 시스템의 것보다 다소 크게 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양으로 확인된 불확실성은 현재 시스템이 갖는 과도한 발령의 문제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