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Optimization of Sewer Network Monitoring Point considering Similarity between Runoff and Water Qualit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원진(Lee Wonjin) 유재연(Yu Jaeyeon) 송양호(Song Yangho) 이정호(Lee Jungho)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394~394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최근 하수관망 내 모니터링 지점 선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모니터링 지점 선정의 고려요소로 유량, 수위 및 수질 등을 고려하였으나 하나의 요소를 기준으로 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모니터링 지점의 고려요소는 유량과 수질이므로 이를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공동의 모니터링 지점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량과 SS(Suspended Solids) 오염부하량의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각각의 특성을 반영하는 모니터링 지점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유사성 산정기법으로 엔트로피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유사성수치는 정보전달량으로 표현하였다. 정보전달량의 값이 클수록 관찰대상지점의 유출수문곡선과 SS 오염부하량 패턴의 유사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최적화는 HS(Harmony Search)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대 정보전달량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지점 수와 해당 지점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도림천 수계 대림3 빗물펌프장 유역을 적용하였으며 효과적인 펌프운영과 수질관리를 위한 최적의 모니터링 지점 선정이 최종 연구 목표이다. 적용대상의 수리ㆍ수문학적 해석을 위하여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유량과 수질의 중요도를 동일하게 판단하여 진행하였으나 현장 상황과 기준에 따른 중요도는 변동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