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stimation of Local Intensive Precipitation for Major Infrastructure Considering Climate Chang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범진(Kim Beom Jin) 한건연(Han Kun Yeun) 허준행(Heo Jun Haeng) 신주영(Shin Ju Young)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375~375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최근에 들어 전 지구적으로는 기후변화에 따라 지역적으로 이상 집중호우로 인한 대규모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중요한 국가시설물에 있어서는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대상 부지내의 홍수발생시 안전도의 위협은 막대한 경제손실과 인명피해 등 대규모의 사회, 경제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초과 위험이 없는 강수량과 홍수량을 기본으로 한 수공학적 설계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국가주요시설물에 대한 유역에서의 극한홍수에 의한 유출해석과 이에 따른 시설물의 침수발생여부는 구체적으로 검토된 바 없으며 대상 부지내에서 침수 가능성을 시뮬레이션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와 방재공학적인 대책의 수립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시간별 강우자료에 대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강우량(LIP, Local Intensive Precipitation)을 산정하기 위해 FARD를 이용하였고, 강우분석 및 확률강우량의 최적의 빈도를 도출한 후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4.5, RCP8.5를 적용하여 선택된 빈도에 대한 매개변수를 산정하고 지점빈도해석과 지역빈도해석에 의한 극한 홍수량을 분석 후 이에 따른 지속기간별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 곡선을 재산정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 중요시설물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발생여부를 판단하고 방재대책을 수립을 위한 과학적인 계산근거가 제시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