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uture IDF Curves Analysis Method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on High Temporal Resolu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경민(Kim Kyungmin) 이옥정(Lee Okjeong) 박윤경(Park yoonkyung) 심인경(Sim Inkyeong) 김상단(Kim Sangdan)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360~360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미래 확률강우량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12.5km 공간해상도의 일단위 시간해상도 자료를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하지만 수문 및 방재분야에서의 실무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일단위 강우자료로는 어려움이 존재함에 따라 다양한 시간적 다운스케일방법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최근 기상청에서는 고해상도 강우시나리오의 사회적 요구에 따라 연구사업을 통해 3-시간단위 강우시나리오를 생산하여 보다 상세화된 강우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세화된 자료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자료가 1-일단위로 구성되어 있을 때와 3-시간단위로 구성되어 있을 때, IDF곡선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미래 IDF곡선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후모델자료는 RCP8.5 시나리오에 따라 구동된 MPI-ESM-LR을 WRF를 이용하여 동역학적으로 상세화된 결과로, 연구대상지역은 부산지점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관측자료의 연최대치 강우강도를 이용하여 Scale 특성을 검토하고, scale-invariance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해 1-시간단위 관측자료의 연최대치 강우강도를 이용하여 IDF곡선을 유도하였다. 그 다음 관측자료의 3-시간단위와 24-시간단위 연최대치 강우강도를 구성하고, scale-invariance를 적용하여 IDF곡선을 유도하였으며, 1-시간단위, 3-시간단위, 24-시간단위 IDF곡선을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3-시간단위의 IDF곡선이 24-시간단위의 IDF곡선보다 1-시간단위 IDF곡선을 유사하게 재현함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방법을 미래자료에 적용하였으며, 편의가 있는 기후모델 자료를 보정하기 위해 Delta-Change-Method를 이용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