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atershed Management Technique for Adapting to Climate Change: Application on Geumho River Basin and Upper Basin of Namgang-dam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윤경(Park Yoonkyung) 김상단(Kim Sangdan)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344~345쪽, 전체 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국문 초록
기후변화는 강우패턴 변화를 유발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의 배출량이 달라진다. 이로 인하여 하천수질이 현재와 달리 악화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변화하는 하선수질을 기후변화 이전의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한 유역관리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낙동강 지류 중 금호강 유역과 남강댐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현재와 미래의 하천 유량 및 수질 변화분석을 위하여 유역 내 환경기초시설, 토지계 비점오염물질, 축산계 비점오염물질, 취수량 등 유역조건을 최대한 반영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때, 구축된 모형의 보정은 SWAT-MATLAB 연동모듈을 사용하였다. 미래 기후변화 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CP 4종(RCP 2.6/4.5/6.0/8.5) 시나리오의 강우량, 기온, 풍속, 상대습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미래 일사량 자료는 강수량, 기온, 풍속, 상대습도의 항수를 통해 모형에 적용하여 미래 유량 및 수질(총인) 자료를 획득하여 현재 유량 및 수질자료와 비교분석 하였다. 금호강의 경우 비교적 가까운 미래(2026년 ~ 2050년)에서 수질이 가장 악화되는 시나리오인 RCP 6.0에 대하여 유역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 BMP)을 적용하여 수질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BMP는 HRU 별로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하나의 HRU에 다수의 BMP가 적용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비용 대비 최대의 수질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발휘하는 BMP 적용안을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SWAT모형을 이용하여 다목적 최적화를 수행하게 되면, 현실적으로 많은 모의횟수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를 절약하기 위하여 BMP 적용 시나리오에 따른 비용 및 수질 저감 효율을 데이터베이스화 한 BMP TOOL을 구축하였다.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유역관리기법을 탐색한 결과, 많은 금액을 투자하더라도 기후변화로 인해 악화된 수질(총인)은 현재의 상태로 복구시키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미래의 금호강 유역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양을 본 연구에서 제안한 BMP 만으로는 저감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의미한다. 미래 기후변화로 인해 악화된 금호강 수질을 현재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BMP 탐색 및 비점오염물질 관리와 함께 점오염물질의 관리도 함께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