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Ground Motions: Comparison with Prediction Model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배성진(Bae Sungjin) 김미래(Kim Mirae) 이혜진(Lee Hyejin) 김병민(Kim Byungmin)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336~336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2016년 9월 12일 경주 남남서쪽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경주지진은 계측을 시작한 이래 한국에서 발생한 최고 규모의 지진으로, 규모 5.1의 전진과 4.5의 여진을 비롯해 수많은 지진을 동반했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NGA-West2 등의 다양한 지진파예측모델을 이용해 경주지진파의 특성을 다각도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여진예측모델을 통해 본진과 전진 또는 본진과 여진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직지진파와 수평지진파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경주지진은 주로 단주기에서 높은 가속도 값을 가지고, 0.1초 이후에는 예측모델들 보다 급격한 감쇄현상을 보인다. 전체적으로 활성단층지역으로 만들어진 NGA-West2 모델과 경주지진을 포함하지 않은 한국형 지진파예측모델을 비교했을 때 경주지진의 지진파와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한국형 지진파예측모델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