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Pollutant Reduction and Facility Efficiency Using Filter Type Permeable Block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한상윤(Han SangYun) 김성지(Kim SeungJi) 길경익(Gil KyungIk)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318~318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최근 경제 개발, 도시화 등으로 인한 비점오염원에 대한 문제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비점오염원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에서 강우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수계로의 직유입이 되는 등 수질오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과 같은 환경선진국에서는 저영향 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비점오염 예방 및 저감 방안 마련을 위해 많은 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점차 많은 사업에 LID를 도입하고 있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은 다양한 LID 기법을 이용한 많은 시설들이 있다. 하지만 그 효율 평가는 아직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LID 기법 중 투수블럭을 이용하여 시설의 효율을 평가했다. 투수블럭에는 총 2가지의 종류(불투수, 필터형 투수포장)을 사용하여 분석했으며, 불투수포장은 대조군, 필터형 투수블럭은 실험군으로 설정하여 실험했다. 인공 강우 및 실강우를 기반으로 한 유입 및 유출의 오염물질의 EMC 및 오염물질 부하량을 분석하였고 또한 시설의 유출 저감 및 지연 효과, Peak Flow 저감량등 다양한 시설의 효율를 분석했다. 실험 및 분석에 대한 결과로써 유출 저감율은 평균 약 55.0%의 저감효과를 보였으며 오염 부하량은 대부분의 오염물질이 모두 80% 이상의 저감율을 보였다. 유출 지연 효과는 두 개의 실험군 평균 약 880분 정도이며 이 값은 강우 강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값으로써 추가적 연구가 필요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