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 Considering Regional Risk Clas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종성(Kim Jongsung) 최창현(Choi Changhyun) 김동현(Kim Donghyun) 김정욱(Kim Jungwook) 김형수(Kim Hung Soo)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279~279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최근 2017년 7월 경 청주를 비롯한 일부 충청지역에서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대규모 재산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행정안전부, 2017). 이처럼 호우로 인한 피해는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피해예측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측력 높은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함으로써 재난관리 담당 공무원이 근시일내에 발생할 재난에 대한 대비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호우피해 특성과 자연적 요인, 지역적 요인, 경제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지역별 위험등급을 제시하고, 제시된 지역별 위험등급에 따라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지역별 위험등급을 제시하기 위하여 PSR(Pressure-State-Response)구조를 활용하여 잠재지표를 분류하였고,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통합적인 호우피해 위험등급으로 표현하였다.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군구별 재해통계자료 및 수문기상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고, 종속변수와 설명변수를 도출하였다. 주성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위험 등급별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예측력 평가 방법으로는 NRMSE(Normalized Root Mean Square Error)를 활용하였으며, 예측력 평가 결과 12~18%로 호우피해를 적절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근시일내에 발생할 호우피해에 대하여 신속한 피해지역과 규모를 예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재난관리 담당 공무원의 대비시간을 벌어 최종적으로는 지역별 피해를 저감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