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 Based on Disaster Statistic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형수(Choi Changhyun) 김종성(Kim Jongsung) 김동현(Kim Donghyun) 최창현(Kim Hung soo)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년, 159~159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재해의 규모와 빈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대규모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강우강도가 강한 호우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고, 국지적으로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호우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만약 어떤 지역 및 시설물에 대한 호우피해를 예측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면, 호우 패턴에 따른 대비를 함으로써 피해 규모를 저감할 수 있고, 복구 규모 등을 미리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피해예측에 관한 연구는 초기단계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통계적 방법(주성분 회귀모형, 로지스틱 회귀모형 등)을 활용하여 국내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 호우피해에 대한 예측함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에서 매년 발간하는 ‘재해연보’를 수집하여 호우피해액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AWS(Automatic Weather System, Automatic Weather Station)관측 장비의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1~24시간), 선행강우량(1~7일), 총 강우량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전국 229개의 시군구에 대하여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영산강 및 기타권역으로 구분하여 함수를 개발하였다. 2005년~2011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고, 2012년~2015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호우피해 예측함수의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여기서 예측력 평가를 위한 지표로 NRMSE(Normalized Root Mean Squared Error)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NRMSE가 약 11% ~ 26%의 예측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호우피해를 잘 예측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향후 대비차원의 재난관리를 통해 호우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